박재훈 (음악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재훈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태어나 오르간 연주자로 데뷔한 음악가이다. 해군 하사로 복무하고 초등 및 중등 교원을 지냈으며, 장로, 한양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을 가서 목회자로 활동하다가 2021년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동요 《구슬비》, 《어머님 은혜》, 찬송가 《어서 돌아오오》, 오페라 《에스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오르간 연주자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대한민국의 오르간 연주자 - 김은희 (교수)
김은희는 듀케인 대학교와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에서 음악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및 예배음악 교수로 재직 중인 대한민국의 교회음악가이자 교수이며, 총신대학교 콘서바토리 원장, 횃불트리니티 콘서바토리 원장,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Seminary Choir 지휘자, 성락성결교회 샬롬찬양대 지휘자, 명성교회 오르가니스트, CTS 라디오 JOY 진행, 미국 오르가니스트 협회 한국 회장, 한국 복음주의 교회음악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국내외 오르간 연주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음악가 - 이철 (1903년)
1903년생 이철은 1930년대 경성에서 한국인 최초의 음반 회사인 오케레코드를 설립하여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 등 히트곡 제작과 고복수, 남인수 등 인기 가수를 발굴하며 한국 대중예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말 친일 활동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음악가 - 정칠성
정칠성은 일제강점기 기생으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운동에 투신, 여성 계몽과 사회 부조리 개선을 주장하며 신간회와 근우회에서 항일 의식을 고취한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이다.
박재훈 (음악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재훈 |
출생일 | 1922년 12월 2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강원도 김화군 금성면 |
사망일 | 2021년 8월 2일 |
사망지 | 캐나다 온타리오 주 미시소가 트릴리움병원 |
배우자 | 황영숙 |
거주지 |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 |
활동 시기 | 1942년~2021년 1월 5일 |
장르 | 기독교 음악 서양 고전 클래식 음악 |
종교 | 개신교(해외한인장로회) |
웹사이트 | YouTube - 기독교방송 C-Channel 내 모습 이대로 |
가족 | 아버지 박창숙 선생과 어머니 이루시 여사의 4남 5녀(9남매) 중 8번째(막내아들) |
2. 생애
박재훈은 1922년 12월 21일(음력 11월 4일) 일제강점기 강원도 김화군 금성면[1]에서 태어났다. 1942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오르가니스트로 데뷔하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 일본 도쿄 유학을 갔지만 징병을 피해 귀국하였다.
1945년 광복 후 1946년 서울로 월남하여 1949년 대한민국 해군 하사로 임관, 한국 전쟁에 참전 후 1952년 예편하였다. 1953년 휴전 후 서울에서 교직 생활을 하다 장수철 등과 기독교 음악 활동을 하였고, 영락교회 장로 및 한양대학교 음악학과 교수를 지냈다. 1973년 미국을 거쳐 1977년 캐나다로 이민, 토론토에서 목회 활동과 음악 활동을 병행하다 2021년 1월 5일 음악가 분야에서 은퇴, 같은 해 8월 2일 미시사가 병원에서 100세(만 98세)로 숨졌다.[1]
2. 1. 초기 생애 (1922~1945)
1922년 12월 21일(음력 11월 4일) 일제강점기 강원도 김화군 금성면[1]에서 아버지 박창숙과 어머니 이루시 사이의 9남매 중 8번째로 태어났다. 한때 강원도 철원군과 강원도 평강군을 거쳐 강원도 이천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이후 강원도 고성군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냈다.[2]1942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오르간 연주자인 오르가니스트로 첫 데뷔하였으며, 일제강점기 말기 일본 도쿄로 유학을 갔으나 징병을 피하기 위해 유학 생활을 포기하고 귀국하였다.
2. 2. 해방 이후 ~ 한국전쟁 (1945~1953)
1945년 8월 15일 을유 광복 후 이듬해 1946년 당시 미군정 조선 시대의 수도였던 서울로 월남하였으며, 1949년 3월에 대한민국 해군 하사로 임관하여 대한민국 해군본부 정훈과에 배속되었다.[1]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는 대한민국 국군 해군본부 군악대 하사로 복무하였고 1952년 3월, 해군 하사 예편하였다.[1]2. 3. 휴전 이후 ~ 캐나다 이민 (1953~1977)
이듬해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이 끝난 이후 서울에서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을 지내다가 모두 그만두고 장수철 등과 함께 기독교 음악 활동을 하면서 영락교회 장로와 한양대학교 음악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1973년 미국을 거쳐 4년 후인 1977년 캐나다로 건너갔다.[1]2. 4. 캐나다 이민 이후 (1977~2021)
1977년 캐나다로 이민을 간 후,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서 개신교 목회자 겸 원로목사로 음악 활동과 사목 활동을 겸하였다. 2021년 1월 5일을 기하여 모든 음악가 분야에서 은퇴하였고, 7개월이 지난 2021년 8월 2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미시사가 병원에서 100세(만 98세)로 숨졌다.[1]3. 주요 작품
박재훈의 주요 작품으로는 동요 《구슬비》, 《어머님 은혜》, 《송이 송이 눈꽃송이》, 찬송가 《어서 돌아오오》, 오페라 《에스더》, 《손양원》 등이 있다.
3. 1. 동요
박재훈의 동요 작품으로는 《구슬비》, 《어머님 은혜》, 《송이 송이 눈꽃송이》, 《시냇물》, 《모두 모두 자란다》, 《눈》, 《봄》, 《내 주먹》 등이 있다.[1]3. 2. 찬송가
어서 돌아오오3. 3. 오페라
그의 작품으로는 에스더, 손양원, 《함성, 1919》 등이 있다.4. 학력
5. 경력
한양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참조
[1]
뉴스
보도 자료 리스트
http://www.deulsorit[...]
[2]
웹인용
‘한국 교회음악의 아버지’ 박재훈 목사의 삶과 찬송가
https://www.christia[...]
2021-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